생성형 AI 시대, 사람경영과 HR 혁신

한국인사관리학회 사람경영포럼

IMG_2827-1

'한국인사관리학회' 임원을 대상으로 기업의 인재 육성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 일시

    |

    2025. 03. 07

  • 장소

    |

    마이다스그룹 판교 본사

어떤 행사였나요?


 

3월 7일, 마이다스그룹 판교 본사에서 사람경영포럼이 개최됐다. 한국인사관리학회 임원 6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에서는 일을 하지 않고 월급만 받아가는 '월급 루팡' 현상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 직장 문화의 현실을 진단하고, 생성형 AI 시대에 요구되는 HR 패러다임 전환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IMG_2777

 

 

 

마이다스그룹의 20여 년간 축적된 물리학, 생물학, 신경과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 분야를 아우르는 연구 성과와

이를 담아낸 솔루션이 국내외 기업들의 인사 관리에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한국인사관리학회 전상길 학회장 (한양대학교 교수)


IMG_2596

 

 

 

 

PROGRAM


 

2023.10-1

세션

 

 

 

Session 1. 사람중심 HR 경영 체계

마이다스그룹 사람경영 총괄 최원호 대표


 

 

IMG_2714-1

 

 

마이다스그룹 사람경영총괄 최원호 대표는 첫 세션에서 생성형 AI 시대의 채용 패러다임 전환을 제시했다. "기업은 지금까지 학력, 자격증, 어학점수 등 스펙과 인적성 및 면접으로 인재를 채용해왔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실제 성과를 내는 인재를 찾을 수 없다"고 진단하며 "챗GPT 등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기존 채용 방식의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마이다스그룹이 20년 간 연구개발한 신경과학 기반의 성과역량 예측 솔루션 '역량검사'를 소개했다.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성과를 내는 핵심 역량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조직 적합성과 성과 잠재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며 새로운 채용 패러다임의 실현 방안을 제시했다.

 

 

Session 2.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경영과 HR 혁신 사례
일잘러를 만드는 시스템

마이다스그룹 기술개발 총괄 신대석 대표


 

 

IMG_2727

 

 

두 번째 세션에서 마이다스그룹 기술개발총괄 신대석 대표는 "잘못된 스펙 기준으로 채용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육성한 결과가 오늘날의 '월급 루팡'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진짜 스펙은 관계 형성과 협업 능력, 성과 중심의 문제해결 사고, 자기 성찰과 감정 조절 능력을 갖춘 인재"라고 강조했다. 이를 바탕으로 신 대표는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으로 '협동력' ‘전략력’ ‘메타력'을 제시했다.

 

이런 인재상을 실현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신 대표는 마이다스그룹이 개발한 인재 육성 솔루션 '에이치닷 온보딩(H. 온보딩)'을 소개했다. 이 솔루션은 소통기술을 통해 협동력을, 사고기술을 통해 전략력을, 성찰기술을 통해 메타력을 강화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또 Chat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교육을 통한 업무 수행 고도화, 멘토링 운영 시스템을 통한 긍정적 상호작용 촉진, AI 기반의 맞춤형 운영 자동화로 효율적인 인재 육성 환경을 구축한다.

 

신 대표는 "직원들의 태도가 변하니 업무 성과도 함께 향상됐다"면서 마이다스그룹 내부와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10주간의 실증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97% 리더가 직원들의 성과 향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태도 변화를 통해 좋은 관계와 성과를 만들어 개인과 회사가 함께 성장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Session 3. 사람이 답이다

마이다스그룹 이형우 회장


 

IMG_2821

 

 

또한 이날 포럼에선 MZ세대와의 소통 어려움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마이다스그룹 이형우 회장은 “디지털 환경에서 성장한 MZ세대는 이전 세대와 달리 직접적인 대면 소통보다 온라인 중심의 상호작용에 익숙해져, 실제 직장 환경에서의 소통 방식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고 답했다.

 

 

IMG_2803

 

 

이어 “AI가 반복적이고 기계적인 업무를 대신하는 시대에 접어들었고, 이제 사람에게는 복잡한 상호작용 능력과 태도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태도 중심의 육성이 확산된다면, 우리 사회는 학벌과 스펙이 아닌 실질적 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패러다임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교육 혁신과 사회 혁신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