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처리방침
개정이력
- 127
- 126
- 125
- 124
- 123
- 122
- 121
- 120
- 119
- 118
- 117
- 116
- 115
- 114
- 113
- 112
- 111
- 110
- 109
- 108
- 107
- 106
- 105
- 104
- 103
- 102
- 101
- 100
- 99
- 98
- 97
- 96
- 95
- 94
- 93
- 92
- 91
- 90
- 89
- 88
- 87
- 86
- 85
- 84
- 83
- 82
- 81
- 80
- 79
- 78
- 77
- 76
- 75
- 74
- 73
- 72
- 71
- 70
- 69
- 68
- 67
- 66
- 65
- 64
- 63
- 62
- 61
- 60
- 59
- 58
- 57
- 56
- 55
- 54
- 53
- 52
- 51
- 50
- 49
- 48
- 47
- 46
- 45
- 44
- 43
- 42
- 41
- 40
- 39
- 38
- 37
- 36
- 35
- 34
- 33
- 32
- 31
- 30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21
- 20
- 19
- 18
- 17
- 16
- 15
- 14
- 13
- 12
- 11
- 10
- 09
- 08
- 07
- 06
- 05
- 04
- 03
- 02
- 01
2025년 기업 규모별 HRD 트렌드 설문조사📝
HRD, 다른 기업에선 어떻게 하고 있을까? 궁금했던 적 많으시죠? AI와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업의 경쟁력은 더 이상 시스템이 아닌, 인재가 가진 역량의 밀도에 따라 좌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조직이 HRD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실질적 실행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래서 에이치닷이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206명의 HR 담당자를 대상으로, 2025년 HRD 운영 현황과 2026년 전략을 조사했습니다. 14가지 질문 중, 가장 반응이 뜨거웠던 6가지 핵심 인사이트를 이번 아티클에서 공개합니다.
👥 응답자 특성
- 
- 
조사 기간: 2025년 9월 4일~16일 (13일간) 
- 
조사 대상: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 HR 담당자 206명 
- 
기업 규모별 구성: 대기업 26.2% ㅣ 중견기업 15% ㅣ 중소기업 44.2% ㅣ 스타트업 14.6% 
 
- 

이번 리포트는 국내 HR 담당자 20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목차
1️⃣ 설문에 포함된 14가지 질문 
2️⃣ HRD 운영 여부와 대상
3️⃣ 중점육성 역량과 HRD 프로그램 운영 방식
4️⃣ 2026년 HRD 전략과 핵심 키워드
1️⃣ 설문에 포함된 14가지 질문
Q1. 현재 H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신가요?
Q2. HRD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육성하려는 대상은 누구인가요?
Q3. 현재 가장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Q4. 어떤 방식의 H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나요?
Q5. HRD 예산은 전체 인건비 대비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나요?
Q6. 적극적으로 HRD를 추진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외부 지원은 무엇인가요?
Q7. HRD의 성과는 어떻게 측정하고 있나요?
Q8. HRD 프로그램 운영이 조직 성과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시나요?
Q9. HRD 프로그램 운영 후 구성원 성장 여부를 추적하고 있나요?
Q10. HRD 프로그램 운영의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Q11. 2026년에 중점적으로 강화하고자 하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Q12. 2026년, 어떤 방식의 HRD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인가요?
Q13. 2026년, HRD 전략 실행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가요?
Q14. 2026년, HRD 전략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인가요?
2️⃣ HRD 운영 여부와 대상

Q1. 현재 H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신가요?
조사에 참여한 206명의 HR 담당자의 64.6%가 "현재 H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라고 응답했습니다. 한편, "현재 H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 않다"라고 응답한 HR 담당자를 대상으로 미운영 사유를 조사한 결과, 내부 운영 인력 및 시간 부족이 79.5%의 응답률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기업이 HRD 프로그램 운영을 '안'하고 있는 것이 아닌,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HRD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운영할 수 있는 실행 주체의 부재가 가장 큰 장벽인 것이죠. 이어서 경영진 관심 부족(47.9%), 예산 부족(46.6%), 임직원 참여율 저조(19.2%) 등의 사유가 뒤를 이었습니다.
✅ HRD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고 있는 이유는?
Q2. HRD 프로그램을 통해 육성하려는 대상은 누구인가요?
HRD 프로그램을 통해 육성하고 있는 대상을 묻는 질문에, "직급·직책 구분 없이 모든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다"라는 응답이 64.7%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서 관리자·리더급(27.8%), 신입사원(24.8%), 일반 구성원(24.1%)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얻었습니다.
주목할 점은 각 직급·직책별 교육에 대한 응답 비율이 25~27% 수준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는 점입니다. 이는 HRD 프로그램의 대상이 특정 그룹에 국한되지 않고, 구성원의 경력 단계와 역할에 맞는 프로그램을 병행하면서도 전사적 역량 강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중점 육성 역량과 HRD 프로그램 운영 방식
Q3. HRD 프로그램을 통해 육성하려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현재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인재 역량을 묻는 질문에, 커뮤니케이션 역량(58.6%)이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습니다. 그 뒤를 이어 AI 활용 능력(51.9%), 차세대 리더십(50.4%), 협업 역량(45.9%), 문제 해결력(37.6%)이 뒤를 이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기업 규모별로 중점 육성 역량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대기업은 차세대 리더십 역량에 집중하며 조직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리더 파이프라인 구축에 주력하고 있었습니다. 반면, 중견·중소기업은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우선순위로 꼽으며 제한된 인원으로 효율적인 협업 체계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었습니다. 스타트업의 경우, 문제 해결력과 협업 역량 두 가지를 동시에 강화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즉각적인 의사결정과 실행이 가능한 조직 역량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습니다.
Q4. 어떤 방식으로 H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나요?
HRD 프로그램 운영 방식을 묻는 질문에, 사내 오프라인 교육(74.4%)이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습니다. 사내 오프라인 교육은 기업 규모와 상관없이 가장 보편적인 교육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기업의 경우 조사에 참여한 29 사 중 27 사가 이 방식을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조직의 가치와 문화를 직접 전달하고, 구성원 간 네트워킹을 강화할 수 있는 사내 오프라인 교육의 효과를 여전히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어서 온라인 학습 플랫폼(57.1%), 외부 교육 위탁(46.6%), 멘토링·코칭·스터디(28.6%)가 뒤를 이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단일 교육 방식보다는, 상황과 목적에 따라 온·오프라인 교육 방식을 유연하게 결합하는 방향으로 H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4️⃣ 2026년 HRD 전략과 핵심 키워드

Q11. 2026년, 중점적으로 강화하고자 하는 핵심 역량은?
다가오는 2026년에 중점적으로 강화하고자 하는 핵심 역량을 묻는 질문에, HRD 프로그램 운영 여부와 관계없이 AI 활용 능력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습니다. HRD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HR 담당자의 69.9%, 운영하지 않는 HR 담당자의 71.2%가 이를 1순위로 꼽아,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조직 경쟁력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AI 활용 능력에 이어 커뮤니케이션 역량, 리더십, 협업 역량, 문제 해결력이 핵심 역량으로 꼽혔습니다. 이는 AI 시대에도 여전히 소통과 협력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조직의 핵심 경쟁력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이러한 소프트 스킬이 직무 전문성보다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은, 역설적으로 AI 시대일수록 기술이 아닌 사람만이 발휘할 수 있는 역량에 대한 투자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결과로 HRD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HR 담당자보다, 미운영 중인 HR 담당자가 육성하고자 하는 역량 항목을 더 다양하게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HRD 체계가 아직 구축되지 않은 조직일수록 인재 육성의 방향이 구체화되지 않아, 보다 광범위한 역량 개발에 대한 니즈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Q14. 2026년 HRD 전략, 핵심 키워드는?
2026년 HRD 전략의 핵심 키워드를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한 질문에, 가장 많은 HR 담당자의 선택을 받은 키워드는 AI/*AX였습니다. 이는 구성원의 AI 활용 역량과 조직의 AI 기반 혁신이 향후 인재 육성 전략의 핵심 축으로 자리할 것임을 예고하는 결과입니다.
*AI Transformation: AI 기반 구조로의 변화와 혁신
그 밖에도 업스킬링과 리스킬링을 포함한 역량/스킬, DX와 데이터 분석을 포함한 데이터/디지털, 리더십, 개인화 등이 주요 키워드로 언급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2026년 HRD 전략은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AI를 활용해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성장 경험을 제공하고, 조직 전체의 역량 밀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전망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앞으로의 HRD 전략의 성패는 얼마나 빠르게 AI를 도입하고, 정교하게 구성원 개인의 성장 로드맵을 설계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죠.
「2025년 HRD 운영 현황과 2026년 전략」
본문에서 다루지 못한 8가지 문항을 백서 전문↗에서 확인해 보세요!
Q5. HRD 예산 규모와 관리 체계
Q6. HRD 운영을 위해 필요한 외부 지원
Q7. HRD 프로그램의 성과 측정 방법
Q8. HRD 프로그램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Q9. HRD 프로그램 운영 후, 구성원 성장 추적 여부
Q10. HRD 프로그램 운영의 페인 포인트
Q12. 2026년 HRD 프로그램 운영 계획
Q13. 2026년 HRD 전략 실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
 
    
.webp?width=2100&height=426&name=CTA2_%ED%8C%80%EC%9E%A5%20%EA%B5%90%EC%9C%A1%20%EC%82%AC%EB%A1%80(x3).webp)
